상품상세

무료배송 묶음배송

글로벌 코치 되기 - 코칭 역량과 ICF 필수 가이드

판매가 22,500
  • 배송비
    0

    (무료)

총 상품금액
22,500
배송비
+ 0
총 결제금액
22,500

호모코치쿠스 28

글로벌 코치 되기: 코칭 역량과 ICF 필수 가이드

 

원제목 : Becoming a Coach 

: The Essential ICF Guide

 

 

지은이 : 조나단 패스모어, 트레이시 싱클레어

옮긴이 : 김상학

출판사 :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1판1쇄 발행 : 2021. 12. 3.

  : 25,000원

  : 152 X 210(신국판)

  : 496쪽

ISBN : 979-11-89736-32-3 (03180) 

 

책 소개

 

 이 책은 코칭 분야의 마스터로 불리는 조나단 패스모어와 트레이시 싱클레어가 코칭을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해 쓴 코칭 교과서이다. ICF가 2019년에 발표한 최신 코칭 역량을 중심으로 핵심 코칭 스킬, 지식 및 자기 인식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전 세계적으로 ICF 코칭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코치 훈련과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문 코치로 성장하고자 하는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스킬과 지식을 갖추기에 부족함이 없다. 코치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또 어떻게 스킬을 향상할 수 있는지 성찰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지은이 소개

 

조나단 패스모어Jonathan Passmore 

 

조나단은 공인된 심리학자로, 영국심리학회의 펠로우다. 또 ICF 자격을 보유한 코치이자 숙련된 수퍼바이저이며, 경영학과 심리학에서 5개의 학위를 가지고 있다. IBM Business Consulting, PWC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 OPM, Embion과 같은 심리 컨설팅 회사와 함께 20년 넘게 코칭 및 인력 개발 분야에서 일했으며, 지금은 헨리 경영대학원 내 Henley Center for Coaching의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오랫동안 그의 고객들은 대기업 임원, 연예인, 정부 관료, 공공 부문 관리자, 창업가 등 다양하다. 이에 앞서 그는 여러 조직에서 임원 역할을 맡아 왔으며, 여러 이사회에서 비상임 이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조나단은 『The Coaches Handbook』, 『Top Business Psychology Models』(번역서: 『CEO를 위한 심리학 특강 50』), 『Mindfulness at Work』 등 30권의 책을 출판했고, 100편이 넘는 논문과 공동 저서를 펴냈다. 

그는 전문 코칭 단체나 학계에서 여러 상을 수상하며, 코치, 그리고 연구자로서 인정받고 있다. Top 30 Global Gurus와 마샬 골드스미스-Thinkers 50에서 톱 8 코치로 선정됐다. 

 

 

트레이시 싱클레어Tracy Sinclair

트레이시는 전 세계 다양한 산업 분야의 조직과 함께 일하는 임원 코치이자 컨설턴트다. 그녀는 ICF 자격 보유 코치로, 여러 조직에 전문 코칭 서비스와 코칭 문화 컨설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ICF 인증 코칭 교육, 멘토링 및 수퍼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체 코칭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트레이시는 또한 헨리 경영대학원의 Henley Center for Coaching에서 강의한다. 자신의 코칭 비즈니스 외에도 Coaching with Conscience라는 운동을 시작하고 이끌며, 코칭으로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트레이시는 또한 코칭 전문가들과 코칭 커뮤니티 개발에 전념하고 있으며, 10년 넘게 ICF를 위해 봉사해 왔다. 2013~2014년 ICF 영국 챕터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6년부터 ICF 글로벌 이사회 이사로 재직했고, 2017년에는 재무 담당 이사, 2018년에 글로벌 회장을 맡았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그녀는 ICF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이사장으로 재직했다. 

그녀의 노력을 인정받아, 2019년 마샬 골드스미스-Thinkers 50 부문에서 최우수 글로벌 코치 수상자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 옮긴이 소개

 

김상학

진정한 크리스찬이 되기를 노력하며 살아가는 김상학은 지난 20여 년 동안 기업 교육 현장에서 일해 왔다. LG그룹 내에서 글로벌 교육 전문가로서,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퍼실리테이션을 주로 맡고 있다. 팬데믹 전에는 연간 두 달 정도를 두바이, 프랑크푸르트, 모스크바, 노이다(인도), 베트남, 샌디에이고, 멕시코시티, 상파울루 등 LG전자 국외법인들에 근무하는 현지인 리더들과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전 세계의 리더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프로그램(Lead4Success, Situational Leadership,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등)의 사내 퍼실리테이터로 활동 중이다. 리더십 분야 외에도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프레젠테이션, 변화 관리 등을 주제로 워크숍을 진행하며, 무엇보다 전문 코치로서 리더들과 함께 코칭을 통해 만나는 비중을 늘리고 있다. 

코칭을 만난 뒤에는 다양한 고객들과 변화의 여정을 함께하고 있다. 국내외 사내 리더들을 대상으로 주로 코칭을 진행 중이다. 코칭 프랙티스 시간이 얼마인지, 코치 자격증 취득에 대해서는 크게 의미를 두지 않지만, 코치로서의 성장에 있어서 경험 차원에서 국제코칭연맹ICF ACC 자격과 한국코치협회 KPC 자격은 취득했다. 코칭 프랙티셔너로서뿐만 아니라 동료 코치들과 함께 성장하는 데 관심이 있어서 국제코칭연맹 한국챕터의 국제교류위원으로 해외 세미나에서 통역을 몇 차례 담당한 바 있으며, 동국대학교 상담코칭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시아 상담코칭학회 국제학술교류 위원장으로 해외에서 활동하는 상담 및 코칭 연구자들과 프랙티셔너들을 학회 학술대회를 통해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 나오듯이 마스터 코치보다는 성숙한mature 코치 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한반도 통일에 코치로서 작은 힘이 될 수 있기를 바라고, 앞으로 만나게 될 전 세계에 있는 고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해서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힘이 되는 것이 김상학의 미션이다. 

 

 

목차

 

추천사

감사의 말

한국어판 서문

역자 서문 

 

1부: 들어가며

 

1장: 성숙함으로의 여정

성숙한 코칭 

2장: 코칭이란 무엇인가? 

코칭의 정의 │ 다른 정의들 │ 코칭과 멘토링 │ 코칭과 (심리)치료 │ 코칭과 컨설팅

3장: 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 자기 인식과 자기 성찰 │ 렌즈 │ 성격 유형 렌즈 │ 성격 특성 렌즈 │ 세 번째 렌즈 │ 저널링 │ 성찰 프랙티스 │ 우리 자신에 대한 이해

4장: 내 고객은 누구인가? 

결손 심리 모델과 긍정 심리 모델 │ 렌즈 │ 비판단적이고 조건 없는 긍정적 고려 

 

2부: 핵심 코칭 역량 개발

 

5장: ICF 핵심 역량 모델 소개

배경 │ ICF 자격 │ ICF 코칭 핵심 역량 모델 │ 유용한 안내 자료

6장: 기초 세우기 영역 – 역량 #1: 윤리적 프랙티스를 보여준다. 

고객, 스폰서 및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코치의 진실성과 정직성을 보여준다 │ 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에 민감하게 대응한다 │ 고객, 스폰서, 관련 이해관계자들을 존중하며 적절한 언어를 사용한다 │ ICF 윤리강령을 지킨다 │ 이해관계자와의 계약 및 관련 법률에 따라 고객 정보를 비밀로 유지한다 │ 코칭, 컨설팅, 심리치료 및 다른 지원 전문직과의 차별성을 유지한다 │ 필요한 경우, 더 적합한 지원 전문가를 고객에게 추천한다

7장: 기초 세우기 영역 – 역량 #2: 코칭 마인드셋을 구현한다 

코칭 마인드셋 │ 선택에 대한 책임이 고객에게 있음을 인정한다 │ 코치로서 지속적인 학습과 자기 계발에 힘쓴다 │ 코칭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지속적인 성찰 프랙티스를 개발한다 │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맥락과 문화에 영향 받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취한다 │ 고객의 유익을 위해 자신의 인식과 직관을 활용한다 │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을 개발하고 유지한다 │ 정신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세션을 준비한다 │ 필요한 경우 외부 자원을 찾아 도움을 구한다

8장: 관계의 공동구축 영역 – 역량 #3: 합의를 도출하고 유지한다

1단계: 코칭 관계를 위한 합의 │ 2단계: 코칭 계획과 목표에 대한 합의 │ 3단계: 세션 목표에 대한 합의 │ 코칭 계약(합의)의 중요성 │ 코칭 계약(합의)의 심화

9장: 관계의 공동구축 영역 – 역량 #4: 신뢰와 안전감을 함양한다

관련 역량들 │ 핵심 구성 요소들

10장: 관계의 공동구축 영역 – 역량 #5: 프레즌스를 유지한다

프레즌스 유지 │ 핵심 구성 요소 │ 파트너링 │ 사람을 코칭한다 │ 걸림돌 │ 침묵은 금이다

11장: 효과적인 의사소통 영역 – 역량 #6: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핵심 구성 요소 │ 질문과 탐색을 통한 경청 │ 모든 감각으로 경청하기

12장: 효과적인 의사소통 영역 – 역량 #7: 알아차림을 불러일으킨다

‘강력한 질문’이란 무엇인가? │ 질문의 초점과 유형 │ 질문의 성격과 질 │ 강력한 질문의 목적 │ 은유 │ 침묵 │ 잠재력 찾기 │ 관점 제시

13장: 학습과 성장 북돋우기 영역 - 역량 #8: 고객의 성장을 촉진한다

핵심 구성 요소 │ 자율 학습 │ 학습을 끌어내고 통합하고 적용하기 

│ 다음은? │ 여덟 가지 핵심 역량 리뷰 

 

3부: 코칭 접근 방식

 

14장: 유니버설 절충형 코칭 접근 방식

절충형 코칭 │ 인본주의 │ 행동주의 │ 인지행동 접근 │ 게슈탈트 │ 시스템즈 │ 정신역동 │ 진화론 │ 생물학 │ 모델 활용 방법

15장: 행동주의 접근 방식과 GROW 모델 

행동심리학 │ GROW 모델

16장: 인본주의 접근 방식과 Time to Think 모델

인본주의 접근 방식 │ 관계가 중심이다 │ Time to Think 모델 │ Time to Think 모델의 기원 │ 사고 환경 │ 예리한 질문 │ 인본주의 접근 방식과 ICF 핵심 역량 모델

17장: 인지행동 접근 방식과 ABCDEF 모델

인지행동 모델 │ 인지행동 ABCDEF 모델

18장: 게슈탈트 접근 방식과 의자 기법 

게슈탈트 모델 │ 고객과 게슈탈트 코칭을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도구 및 기법

19장: 솔루션 중심 접근 방식과 OSKAR 모델

솔루션 중심 모델 │ OSKAR 모델 │ 도구

20장: 시스템 접근 방식과 힘의 장모델

시스템 접근 │ 코칭의 시스템 접근 │ 힘의 장 모델 │ 시스템 코칭과 ICF 핵심 역량 모델

21장: 정신역동 코칭과 전이

‘정신역동’은 무엇을 의미할까? │ 코칭에 대한 정신역동 접근을 위한 증거 기반 │ 코칭에 유용한 정신역동 개념 │ 정신역동 원리와 ICF 핵심 역량 모델

22장: 통합 

통합이란? │ 코칭 프랙티스를 위한 통합 모델 │ 코칭 파트너십 │ 행동 문제 다루기 │ 의식적인 인지와 정서 다루기 │ 무의식 다루기 │ 몸 다루기 │ 시스템 안에서 일하기 │ 코치는 자신의 통합 접근 방식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나? 

 

4부: 코칭 프랙티스

 

23장: 윤리적 프랙티스 

윤리란 무엇인가? │ 윤리적 딜레마는 무엇인가? │ ICF 윤리강령 │ 윤리적 학습의 지속 │ 당신의 코칭 프랙티스에서 윤리적 딜레마 다루기

24장: 고객과의 계약

코칭 계약이란 무엇인가? │ ‘프레임’으로서의 계약 │ 다자간 계약 │ 계약에는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나?

25장: 코칭 노트 작성 및 관리

메모를 해야 할까? │ 무엇을 메모해야 할까? │ 세션 후에 어떤 메모를 해야 할까? │ 고객이나 스폰서가 당신이 쓴 메모를 보고 싶어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 고객 데이터의 관리 및 안전한 삭제

26장: 마음챙김을 통한 프레즌스 유지

프레즌스 유지 │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 마음챙김의 이점 │ 마음챙김이 코칭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 세션 전 프레즌스 확보 │ 세션 중 프레즌스 유지 │ 세션 중 감정 관리 │ 프레즌스를 키우는 기법 

 

5부: 프랙티스 개발 

 

27장: 개인 계발 계획 

개인 계발 계획란 무엇인가? │ 개인 계발 계획이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 개인 계발 계획에 무엇을 포함시켜야 할까? │ 언제 개인 계발 계획를 시작해야 할까?

28장: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이란 무엇인가? │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의 혜택 │ 지속적인 코치 교육은 무엇인가? │ 전문적 또는 개인적 개발?

29장: 수퍼비전 

수퍼비전이란 무엇인가? │ 수퍼비전의 기능과 범위 │ 수퍼비전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가? │ 수퍼비전이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 코칭 수퍼바이저 │ 적합한 수퍼바이저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 역할과 책임 │ 수퍼비전을 통해 최상의 결과 얻기

30장: 성찰 프랙티스

성찰 프랙티스란 무엇인가? │ 성찰 프랙티스가 중요한 이유 │ 성찰 프랙티스를 개발하는 방법 │ 자기 성찰을 위한 Henley 8 모델

31장: 멘토 코칭

멘토코칭이란 무엇인가? │ 일반적인 코치 멘토링 │ ICF 자격 인증을 위한 멘토 코칭 │ 멘토 코칭은 언제 필요한가? │ 멘토 코칭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멘토 코칭 세션 계획 수립 │ 멘토 코치 찾기 │ 멘토 코칭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기

32장: 코치 지식 평가

코치 지식 평가란 무엇인가? │ 코치 지식 평가를 어떻게 가장 잘 준비할 수 있나? │ 온라인 시험을 위한 조언

33장: 코칭 스킬 향상

PCC란 무엇인가? │ PCC 자격을 얻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 PCC 코치와 ACC 코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MCC 자격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MCC 코치와 PCC 코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전문성 개발 모델 │ 과학 │ 예술 │ 초심자의 마음 유지 

 

6부: 도구와 기법 

 

34장: 코칭 도구 

기법 1: 마음챙김 명상 │ 기법 2: 스토커스 │ 기법 3: 전형적인 하루 │ 기법 4: 변화 이야기 개발 │ 기법 5: 걷기 및 말하기: 생태심리학 코칭 │ 기법 6: 천국과 지옥 │ 기법 7: 반영 사용: 단순, 증폭 및 완화 │ 기법 8: VIP │ 기법 9: 포스트잇 │ 기법 10: 무인도 │ 기법 11: 사악한 꽃 │ 기법 12: 미덕의 꽃 │ 기법 13: 개인 이사회 │ 기법 14: 젤리 베이비 트리 │ 기법 15: 결과 바퀴 │ 기법 16: 유산 │ 기법 17: 삶의 수레 바퀴 │ 기법 18: 영향력 범위 │ 기법 19: 도우스 │ 기법 20: 세 가지 좋은 것들 │ 기법 21: 축복: 자비로운 마음 키우기

 

참고 문헌

저자 및 역자 소개

발간사

 

 

출판사 서평 및 특징

코칭 역량 습득과 코치로서 성장을 안내하는 최신의 모범 교과서! 

 

 

“『글로벌 코치 되기』는 코칭을 배우는 여정을 시작하기에 완벽한 책이다. 코칭 관련 다양한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다루며, 초보 코치는 물론 경험 있는 코치들을 위한 ICF의 새로운 코칭 역량에 대한 근본적인 가이드를 제시한다.”

- 마샬 골드스미스(Thinkers 50, 10년 간 #1 임원 코치)

 

“여러분이 코치가 되려고 하거나 이미 노련한 코치 수퍼바이저, 멘토, 트레이너, 교육자라고 해도 이 책은 여러분의 중요한 동반자가 될 것이다. 저자들은 이 책 한 권에 수십 년의 경험과 연구를 담았다. 증거 기반 모델을 기반으로, 도구, 활동, 성찰 프랙티스 등이 다양하게 담긴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

- 로라 하우저, MCC, MCEC(Training Director, Team Coaching Operating System®) 

 

국제코칭연맹(ICF)은 2020년 기준 전 세계 128개국 3만 8,000여 명의 회원과 2만 8,500여 명의 자격증을 가진 전문 코치들로 구성된 글로벌 코칭 조직이다. 이 조직은 모든 코치가 서로의 발전을 돕고 코칭이라는 직업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는 취지로 1995년 처음 설립됐다. ICF는 그동안 코치들이 갖춰야 할 핵심 역량을 11가지로 분류하여 코치 교육과 자격시험 등의 기준으로 삼아 왔다. 그러다가 2019년 가을에 8가지 역량으로 재편한 ‘역량 모델’을 발표하고 2021년부터 정식으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 역량 모델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 직무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2년간의 엄밀한 코칭 사례 분석과 전 세계 1,300명 이상의 코치들에게 수집한 연구와 증거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책은 코칭 분야의 마스터로 불리는 조나단 패스모어와 트레이시 싱클레어가 코칭을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해 쓴 코칭 교과서이다. 필자 중 조나단 패스모어는 우리에게 익숙한 연구자다. 『마스터 코치의 10가지 중심이론』, 『코칭 수퍼비전』 등의 저서가 번역되었으며, 국내 학회 주최 코칭 컨퍼런스에서 얼굴을 알린 바 있는 학자이다. 

 

이 책은 ICF가 2019년에 발표한 최신 코칭 역량을 중심으로 핵심 코칭 스킬, 지식 및 자기 인식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모두 5부 3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코칭 교과서에 포함될 만한 내용은 거의 다 망라되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4개의 장으로 구성된 1부에서는 이 책 전반의 맥락을 소개한다. 1장에서는 성숙한 코칭에 관해 다루면서 공인된 교육에 참여하고 ICF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몇 가지 단계와 코칭 마인드셋을 설명한다. 2장에서는 코칭의 정의를 살펴보고, 다른 전문 서비스들과 코칭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3장과 4장에서는 각각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 고객이 누구인지 살펴보면서 자기 인식과 자기 성찰 개념을 설명하고 그것의 유익을 제시한다.

 

코칭의 국제적 기준, ‘ICF 핵심 역량’ 

 

2부에서는 코칭 및 코칭 역량에 관한 ICF의 접근 방식을 살펴본다. 5장에서 ICF의 간략한 역사와 ICF 핵심 역량 모델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와 함께 2019년 9월에 승인된 가장 최근의 역량 검토 과정의 개요로 시작한다. 이어지는 6장에서 13장까지 4개 분야 8가지 핵심 역량을 차례대로 살펴보고 각 역량에서 의도하는 내용과 코칭 프랙티스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더 심도 있게 탐구한다. 

 

3부는 코칭 프로세스에 대한 유용한 통찰과 적용을 가능케 하는 다양한 심리적 접근을 다룬 아홉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4장에서는 유니버설 절충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인본주의, 행동주의, 인지행동주의, 게슈탈트, 시스템즈, 정신역동, 진화 및 생물학을 포함한 이 프레임워크의 핵심 특징들을 설명한다. 15장에서 21장까지는 각각 다른 심리학적 접근 방식의 역사와 기원, 그리고 어떻게 개발되었는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22장은 3부의 마지막 장으로 통합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고객의 고유한 특성에 맞춰 융통성 있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각 코칭 대화의 고유성은 바람직한 코칭 실천이 여러 출처와 자원들을 활용한다는 걸 의미한다. 

 

코칭 프랙티스에 초점을 맞추는 5부는 23장에서 26까지 구성되어 있다. 23장은 윤리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윤리적 ‘딜레마’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24장은 코칭 계약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코칭 프로세스 내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기대 수준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프레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25장에서는 기밀 유지,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메모를 관리하는 중요한 문제뿐만 아니라 메모의 장단점을 살펴본다. 26장에서는 바람직한 코칭 실행의 중심 기능으로 프레즌스에 초점을 맞춰 몇 가지 마음챙김 기법을 소개한다.

 

5부는 코치가 평생 학습과 개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몇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27장에서는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CPD)을, 28장에서는 개인 계발 계획Personal Development Plan(PDP) 개요와 ICF의 관점을 다룬다. 29장에서는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을 위해 매우 유용하고 강력한 코칭 수퍼비전을 소개한다. 30장에서는 성찰 프랙티스에 대해, 31장과 32장에서는 ICF 자격 증명과 지속적인 개발 과정의 두 가지 측면인 멘토 코칭과 코치 지식 평가Coach Knowledge Assessment(CKA)에 대해 살펴본다. 5부는 33장으로 마무리되는데, 장기적으로 코칭 스킬을 어떻게 계속 개발할 수 있을지 방법을 알아본다. 

 

이 책의 마지막인 6부에서는 코치의 자원 모음 가운데 일부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와 기법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자원들은 34장에서 소개되는데, 코치가 개인적으로 또는 전문적인 수준에서 자신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사용할 수 있는 21가지 아이디어가 소개된다. 

 

이 책을 통해 코칭에 입문하는 초보 코치는 튼튼한 기초를 쌓을 수 있고, 전문 코치는 고객에 맞춘 자유로운 역량 발휘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전문 코치로 성장하고자 하는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스킬과 지식을 갖추기에 부족함이 없다. 또 ICF 코칭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코치 훈련과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변화 속도와 디지털의 발전, 포스트 코로나 이후 사회 문화의 변화 양상이 남다르다. 이에 코칭이 호응하고 적응과 발전을 위해 숙고는 물론 변주와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할 때 코치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또 어떻게 스킬을 향상할 수 있는지 성찰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급변하는 사회적, 개인적, 심리적 변화 와중에 업데이트된 「ICF 코칭 역량 모델」을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훈련과 임상 적용의 창의적 적용을 기대한다. 

 

 

■ 본문 내용 중에서···

 

사실 우리는 배우기를 멈춘 코치들은 코칭을 그만둘 코치라고 간주한다. 코칭은 우리에게 고객들과 우리 자신에게 호기심을 가질 것을, 그리고 우리 고객들을 배우고 변화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로 볼 것을, 우리의 행동을 통해 이러한 믿음을 실제로 보여줄role-modeling 것을 요구한다. 코치들은 계속 학습하고 열린 자세로 고객들에게 배우며, 역동적인 세계에 적응할 준비가 된 사람이어야 한다. (23쪽)

 

요약하자면 코칭은 특색 있는distinctive 접근법이다. 일대일 촉진 관계를 통해 단기간에 업무 목표나 새로운 통찰력에 도움을 주는 데 초점이 맞춰진다는 점에서 멘토링, 상담, 컨설팅과는 다르다. (36쪽)

 

자기 인식은 능동적인 자기 성찰을 통해 향상될 수 있으며, 통찰력을 바탕으로 피드백에서 수집되고 또한 심리 검사와 같은 도구를 통해 입증된다. 우리는 세 가지 다른 렌즈를 살펴보았다. 유형, 특성, 그리고 우리가 ‘제3의 렌즈’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50쪽)

 

기초 세우기 영역은 코치와 코칭 관련 개인들 사이의 모든 상호작용에서 코치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더 광범위한 역량 개발 관점에서, 기초 세우기 영역 내의 역량은 일련의 코치 중심 역량(코치가 ‘누구’인지 ‘존재’를 기술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나머지 세 영역은 코치의 행동(즉 코치가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77쪽)

 

지속적인 학습과 자기 계발은 ICF 코칭 철학의 기본이다. 5장에서 요약한 바와 같이 ICF 자격을 주기적으로 갱신하도록 한 이유가 전문가로서 코치의 지식, 기술, 태도 및 행동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자기 계발 활동을 하도록 한 데 있다. (103쪽)

 

지지, 공감, 관심이 누구를 구출하거나 돌보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중요하게 강조한다. 코칭에서 이러한 세 가지 자질을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의 핵심 특징은 코치가 고객과 동등한 관계를 만들고 고객이 창의적이고 자원이 풍부하며resourceful 전인적이라는 코칭 원칙 가운데 하나와 연계하는 것이다. (127~128쪽)

 

질문의 초점 및 유형과 관련해서는 불러일으키기evoke, 탐색explore, 너머beyond, 생성generate 및 재구성reframe과 같은 단어들을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강력한 질문의 유형들은 고객과 고객의 생각에 도전하고, 관습에 따른 사고 습관의 경계와 한계를 넘어 고객의 상황, 이슈, 목표를 고려하는 새로운 방법을 탐색하고 발견하도록 돕는 것들이다. (154쪽)

 

고객들이 보게 되는 건 코치가 채택한 행동과 도구들이다. 코치가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으려면, 자신에게 익숙한 서너 가지 도구들을 모든 고객에게 사용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도구들을 충분히 알 필요가 있다. 최고의 코칭은 그 순간에 함께 창조된다. 고객의 필요에 의해 리드되고, 협력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코치-고객이 함께 실행하게 된다. (188쪽)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코치가 개별 고객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적응하고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코치는 자신의 통합 접근 방식을 어떻게 개발해야 할까? 대답은 코치가 고객과 함께 사용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함께 유지하는 가치와 신념에 있다. (289쪽)

 

대부분 코치는 세션 중에 간단한 메모만 한다. 이에 대한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세션 중에 메모를 자세히 쓰다 보면 산만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치는 고객과 눈을 마주치고 완전한 의사소통을 하는 대신 글을 쓰려고 내려다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결과적으로 코치가 대화에 참여하는 것보다 증거 수집에 더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신뢰와 친밀감이 손상되고 고객에게 마음을 닫게 할 수 있다. (318쪽)

 

수퍼비전은 코칭 전문성의 지속적 개발에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코치가 프랙티스를 성찰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이제는 수퍼비전을 하나의 메커니즘mechanism으로 사용하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 코칭 서비스 구매자는 자신이 최고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싶어 하며, 코치가 수퍼비전받는다는 것을 알면 코칭의 품질 보증, 전문성 및 성실성을 입증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357쪽)

 

고객의 관점에서 볼 때 코칭이 도구 중심의 프로세스라는 것을 옹호하 지는 않지만, 이 부분에 포함된 몇 가지 개념과 접근 방식을 이해하면 고 객에게 새로운 인식, 통찰 및 학습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고객의 허락을 받고 파트너십을 통해 이러한 도구를 도입하면, 고객이 수행하는 작업에 적합하고 직관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전제하에 새로운 관점과 창의적 사 고의 근원이 될 수 있다. (423쪽)

 

 

■ 출판사 정보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출판등록 2017년 3월 28일 제 2018-000274호

주소 서울시 마포구 포은로 8길 8 1005호

전자우편 hellojisan@gmail.com 

문의전화 010-3753-0135(편집) 

 

영업관리/도서주문 카운트북 

전화 070-7670-9080 

팩스 070-4105-9080 

이메일 countbook@naver.com  

배송/반품/환불 정보

 환불시 비용을 지불하셔야 합ㅈ니다.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대표자김상복 이메일hellojisan@gmail.com 사업자번호4039900241 사업자정보 확인 통신판매업신고번호서비스 주소[04311] 서울 용산구 임정로29길 18-1 (효창동)